개요 및 목표 마음을 집중시켜 마음과 호흡을 가다듬고 자신을 되돌아 보는 기회를 가진다.
기대효과 참을성이 생기고 인욕할 수 있게 되며 자심감을 갖게 된다.
활동시기 제한 없음
활동장소 실내
대 상 누구나
인 원 제한 없음
소요시간 제한 없음
진행방법
1. 참선의 의의
참선이란 고요히 생각하고 마음을 집중시킨다는 뜻이며 바깥으로 달아나는 마음을 한곳으로 모으는 훈련입니다. 이 훈련을 계속 한다면 어려움이 있더라도 참을성이 생기고 인욕할 수 있게 되며 자신감이 생겨 모든 일을 잘 할 수 있을 것입니다.
2. 참선으로 성불 하신 석가모니 부처님
부처님이 되시기 전 인도 정반왕의 왕자였던 싯다르타 태자는 마음의 평화를 얻기 위해 출가를 결심하고 훌륭한 스승을 찾아 이곳저곳을 다니면서 고생스러운 수행을 하였습니다.
온갖 어려움을 참고 견디며 게으른 마음을 누르고 깨달음을 얻기 위해 노력했지만 공부는 어려웠습니다. 보리수나무 아래에서 7년 동안 가부좌를 틀고 앉아 바른 자세로 마음을 안정시켜 조용히 생각에 잠겼습니다.
"욕심도 버리고 나쁜 것으로부터 떠나고 어디에도 치우침이 없는 텅 빈 마음의 뿌리를 찾으리라."
이런 생각에 잠긴 어느 날 새벽 싯다르타는 마음이 맑아져 지혜가 생기고 모든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줄 수 있는 환한 마음이 되었습니다. 바른 깨달음을 얻고 부처님이 되는 것을 삼매라고 합니다. 요즈음도 스님들은 여름에 석 달, 겨울에 석 달 동안 삼매에 들어 마음을 찾기 위한 참선 공부를 하신답니다.
3. 참선하는 방법
① 몸 고르게 하기
방석 위에 앉아서 왼쪽 발을 오른쪽 허벅지 안쪽 위에 올려놓고(반가부좌) 허리를 쭉 펴서 철추를 곧게 세웁니다. 온몸의 중심을 배꼽 아래 단전에 모으고 왼손을 오른손위에 포갠 후 엄지를 붙이고 단정부분에 가볍게 갖다 놓습니다.
② 호흡 고르게 하기
호흡(숨쉬기)은 천천히 가슴으로 하지 않고 배로 합니다. 배아래 단전에서부터 호흡을 내쉬어서 배로 가슴으로 목으로 코로 천천히 내보냅니다.
③ 마음 고르게 하기
참선의 목표는 마음을 고요히 비우는 것입니다.
호흡을 한 번 들여 마셨다가 내뿜으면서 마음속으로 '하나'하고 헤아립니다. 또 들어마셨다가 내뿜으면서 '둘'이렇게 '열'까지 헤아리고 다시 '하나'로 시작해서 '열'로 마칩니다. 이렇게 숨을 쉬는 것을 수식관이라고 하며 이것은 마음을 고요히 비우는 방식입니다.
4. 참선의 효과
매일 아침에 5분 정도 참선을 한다면 참을성도 길러지고 자세도 바르게 될 뿐 아니라 공부도 잘하게 될 것이고 저녁 잠자기 전에 3분 정도 참선을 한다면 좋은 꿈도 꾸고 부처님도 만날 수 있답니다.
유의사항
1. 참선을 할 때에는 옆 사람과 떠들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2. 참선을 할 때에는 자신을 되돌아보는 기회도 가져봅니다.
(나는 어떻게 생활해왔는지, 게으르게 행동하진 않았는지, 나의 일을 남에게 미루진 않았는지 등)